한국계 수학자 허준이(39. June Huh)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 겸 한국 고등과학원(KIAS) 수학부 석학교수가 5일(현지시간) '수학 노벨상' 필즈상의 영예를 안았습니다.
국제수학연맹(IMU)은 핀란드 헬싱키 알토대학교에서 열린 시상식에서 허 교수를 필즈상 수상자로 발표했는데요. 미국 국적이지만 한국 수학자로서는 최초 수상이며, 이전까지 한국계나 한국인이 이 상을 받은 적은 없었습니다.
1936년 제정된 필즈상은 4년마다 수학계에서 뛰어난 업적을 이루고 앞으로도 학문적 성취가 기대되는 40세 미만 수학자에게 주어지는 수학 분야 최고의 상으로 아벨상과 함께 '수학계의 노벨상'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허준이 프로필

- 출생: 1983년 6월 9일(39세) 미국 캘리포니아 스탠퍼드시
- 국적: 미국
- 본명: June Huh(허준이)
- 가족: 아버지 허명회, 어머니 이인영, 배우자 김나영
- 학력: 서울방일초등학교, 이수중학교, 상문고등학교(중퇴), 고등학교 졸업 학력 검정고시,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물리/천문학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수학 석사, 미시간 대학교 대학원 수학 Ph.D
- 현직: 스피스턴 대학교 수학과 교수, 고등과학원 수학부 석학교수
허준이는 부모가 미국 캘리포니아 스탠포드에서 박사 과정을 진행 중일 때 그곳에서 태어났고, 미국에서 태어났지만 한국에서 초중고부터 대학교를 거쳐 대학원 석사까지 교육을 받았습니다.
수학 영재들은 흔히 어렸을 때 두각을 드러내고, 어릴 때 싹수가 보이지 않으면 희망이 없다고 세간에 알려져 있지만, 허준이는 어린 시절 구구단을 외우는 것도 버거워했고, 수학을 포기한 수포자였는데도 반전에 성공한 케이스라고 합니다. 그래서 수학에 대한 적성과 재능이 나타나기까지 한참 시간이 걸렸던 허준이는 대학 4학년이 돼서야 수학을 시작했다고 합니다.
한국계 미국인 수학자로 리드 추측(Read's conjecture), 로타 추측(Rota-Heron-Welsh conjecture)을 증명했습니다. 2014년 Clay Research Fellow에 선정되었고 New Horizons in Mathematics 상(2019)과 삼성호암상 과학상(2021)을 수상하였다.
경력사항
- 클레이 수학연구소 펠로우
- 프리스턴 고등연구소 베블런 펠로우
- 프리스턴 고등연구소 방문교수
- 스탠퍼드 대학교 수학과 교수
- 프리스턴 대학교 수학과 교수
댓글